1. DVD 구조
DVD 디스크는 1층인가 2층인에 따라 그림처럼 4종류의 디스크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초창기 가장 널리 사용된것은 한 면 재생 1층 구조 디스크로, 1장에 영화 약 1회분의 영상, 음성 데이터를 수록할 수 있다.
이것은 CD의 7장분량에 해당하는 대용량이다.
가끔 양면 재생 1층구조(싱글 레이어 듀얼 사이드 디스크)도 쓰였지만 뒤집어야 하는 불편때문에 요즘엔 별로 쓰이지 않고,
단면 재생 2층 구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DVD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DVD 플레이어가 필요하다. DVD가 CD에 비해 아무리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고밀도의 DVD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지 위해서는
그것을 읽기위한 광픽업 장치를 가진 플레이어가 있어야 한다.
DVD 플레이어가 고난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단순히 DVD만을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CD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DVD와 CD 양쪽 모두를 재생시킬 수 있는 DVD 플레이어의
핵심 기술은 어떠한 형태의 광픽업 장치를 만드느냐에 달려 있다.
광 픽업 장치는 DVD 또는 CD에 수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즉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레이저광을 신호 수단으로 하여 기판의 두께가 각각 0.6mm와 1.2mm이고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DVD와
CD에 수록된 두 종류의 디지털 신호를 판독하여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780㎚의 적외선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CD용 광픽업 장치로는 DVD의 데이터를
읽을 수 없다. DVD의 데이터를 읽기 위해서는 650㎚의 적외선 반도체 레이저가 필요하다. 또 650㎚의
광픽업으로 CD를 읽는 것은 파장에는 문제가 없지만 초점 거리가 맞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CD는 두께가 1.2mm로써 DVD의 0.6mm의 2배여서 정보를 써 넣는 장소가 DVD보다 깊기 때문이다.
현재 개발된 광픽업 장치를 위한 기술에는 '2렌즈 방식', '액정셔터 방식', '홀로그램 방식', '환형차폐 방식' 등이 있다.
2렌즈 방식은 CD와 DVD에 각각 사용할 2개의 대물렌즈를 붙여서, 기계적으로 절환하는 방식이다.
액정셔터 방식은 셔터를 사용해 대물렌즈의 개구(開口)를 좁게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디스크 종류 출력 | DVD | 비디오-CD | CD | SETUP MENU | |
AUDIO OUT | |||||
음성출력 | 2 채널 (R1, L1) |
48/96KHZ 샘플링 |
44.1KHZ 샘플링 |
44.1KHZ 샘플링 |
PCM |
5.1 채널 (F/R, F/L. R/R, R/L, C/T, S/W) |
48KHZ 샘플링 |
- | - | AC-3 | |
디지탈 음성 출력 | 48/96KHZ 샘플링 |
44.1KHZ 샘플링 |
44.1KHZ 샘플링 |
AC-3 5.1 채널시스템 사용시 AC-3 | |
광 디지탈 출력 | 48/96KHZ 샘플링 |
44.1KHZ 샘플링 |
44.1KHZ 샘플링 |
일반 TV및 AMP사용시 PCM |
비디오로 스포츠 경기나 콘서트를 감상한다고 하자. 이 경우 오직 한 각도에서 찍은 영상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DVD에서는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장면을 담아 시청자가 원하는 각도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
멀티 앵글을 통해 많게는 9곳에서 찍은 화면을 원하는 방향에서 재생시켜 주는 것이다.
그것도 원하는 앵글만 혹은 모두를 한 화면에 놓고 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이빙 선수의 입수 장면을 물 아래나 천장에서,
그리고 측면에서 모두 볼 수 있는 셈이다. 최대 9개의 다른 영상들이 여러 대의 카메라에 의해 동시에 기록되고 저장 가능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시점으로 선택할 수 있다.
DVD는 사용자가 자막으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데, 최대 32개 국의 언어를 담을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아예 자막을 표시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음성도 영어, 중국어, 독일어 등 최대 8개 국어의 사운드 트랙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고 8개 언어의 더빙과 최고 32개 언어의 자막이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고,
시청자들은 원하는 대로 그것을 조합할 수 있다.
여기에 미국쪽 타이틀의 경우 기본적으로 CC(Closed Caption; 캡션자막기)를 갖고 있다. 자막과 이러한 캡션의 차이는 자막의 전체 흐름을 내용으로 알려 주는 것이고,
캡션은 대화를 그대로 화면에 전달하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캡션은 기존 VHS 테이프에서도 이용되고 있지만, DVD에서도 이용할 수 있기도 하다.
영화 '블레이드 러너'는 처음 출시될 때 상업성 때문에 여러 가지 제약을 받자, 감독은 이후 자신이 만들고 싶었던 영화로 편집해 다시 출시하기도 했다.
이런 경우는 결론이 완전히 달라지기도 한다. DVD에서는 이때 구태여 두 가지 영화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다.
멀티 스토리로 만들어진 영화일 경우 미리 설정된 여러 갈래의 스토리를 취향대로 골라 볼 수 있게 된다. 슬픈 영화가 싫다면 해피엔딩만 있는 영화로 만들 수 있는 셈이다.
만일 하나의 영화가 극장판, 무 삭제판과 감독 삭제판과 같은 여러 판(版)을 가지고 있다면 하나의 디스크에 이러한 모든 판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DVD의 기능에서 메뉴로부터 그 판을 고르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선택된 판은 일반적인 부분과 각각의 부분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되고 끊김없이 재생된다.
DVD는 시청 제한 기능인 페어런탈 코드((Parental Code)를 인지, 설정된 부분을 건너뛸 수 있다. 페어런탈 코드란 '미성년자 관람불가'에 관한 정보를 말하는데,
장면마다 X, G, R등급 식으로(중학생 관람가, 고교생 관람가, 성인용 등) 급을 매길 수 있어 해당 장면을 보고 싶지 않다고 코드 설정만 하면 문제의 장면이 방영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멀티스토리로 제작된다면 역시 '낮은 등급'으로 스토리 전개를 바꿔 버려도 무방하다. 대부분의 경우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있는데,
부모 통제 수준이 PG-1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부모 통제 관리가 없는 DVD 디스크와 부모 통제 수준이 G, PG, PG-13인 DVD 디스크만 재생된다.
DVD는 16:9 비율로, 일반적인 TV 화면 비율인 4:3보다 더욱 넓은 화면을 지원한다.
물론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와이드 화면의 TV 등이 있어야 되겠지만, 기존의 4:3 TV 등의 화면 사용자들을 위해 일반 TV 화면으로도 재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드 화면용인 방송과 4:3 비율로 나타나는 영화를 가능하게 하려면 와이드 화면의 영상은 윗부분과 밑부분에 검은 띠를 가지고 있다.
와이드 화면의 영상을 와이드 TV에서 표시하려면 영상은 윗부분과 밑부분이 검은 띠로 표시된다.
◆ 단점 - DVD 발전의 장애요소
DVD의 발전을 막는 요인으로는 몇 가지를 꼽을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역코드로, DVD의 재생을 지역별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들 코드는 6개의 지구 영역 중 하나를 나타내 DVD 비디오 재생을 제한한다.
즉 각 플레이어와 DVD-ROM 드라이브에는 하나의 영역 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각 디스크 면은 해당 디스크가 재생될 영역을 지정할 수 있으며, 지역 코드가 없는 디스크는 모든 플레이어와 모든 영역에서 재생된다.
DVD 타이틀은 지역코드가 있어 그 코드에 해당하는 장비에서만 동작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이 포함된 지역코드3번으로 세팅한 드라이브에서는 미국, 유럽에서 구입한 지역코드1번 타이틀이 동작하지 않는 문제인데 2001년 1월부터 생산하는 DVD-ROM에는 이러한 규제가 완전히 의무화된다.
하지만 이전 제품은 아예 지역제한기능이 없거나 다른 방법으로 이를 풀 수 있는 코드프리
(-국가 코드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의 제품을 읽을 수 있는 기능)를 할 수 있어 지역과 상관없이 쓸 수 있다.
영역 1 - 미국, 캐나다 영역 2 - 유럽, 일본, 남아프리카, 중동, 이집트, 그린란드 영역 3 - 인도네시아, 한국, 타이완, 태국, 필리핀, 홍콩 영역 4 - 호주, 남아메리카, 중앙 아메리카, 멕시코, 뉴질랜드, 태평양 섬, 카리브 지역 영역 5 - 대부분의 아프리카 지역, 전 소련 공화국, 동부 유럽, 인도, 북한, 몽고 영역 6 - 중국(홍콩 제외) |
|
※ 참고 : Blu-ray 지역코드
출처 : 월간 Hello PC 1999년 6월호
월간 Newton 1997년 1월호